사회해체, 아노미, 긴장 이론
사회해체이론과 아노미이론(일명 긴장이론이라고도 함)은 각각 다른 이론적 전통과 연구로부터 발전되었으나, 두 이론은 공통된 주제를 갖고 있다. 두 이론 모두 무질서나 사회적 분열 등을 범죄와 비행의 원인으로 보는 반면, 사회질서, 안정성, 통합을 준법의 바탕으로 본다. 두 이론은 집단, 공동체, 사회 내에서 결속, 유대, 통합이 약하면 약할수록 범죄와 비행의 가능성은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1. 사회해체이론과 도시행태학 사회해체이론은 1920~1930년대에 사회학자들이 도시범죄와 비행을 연구하면서 시작되었다(Shaw and Mckay, 1942; 1969). 시카고학파는 각 지역 소년법원재판에는 회부된 청소년들의 거주지역을 도식화하였다. 도시주위의 비행분포가 체계적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이라는 명칭은 사회과학에서 사회행태적 접근을 시도한 반두라와 다른 심리학자들이 사용한 것이다(Bandura, 1977a: 1977b; Bandura and Walters, 1963; Miller and Dollard, 1941; Rotter, 1954; Patterson, 1975). 사회학습이론은 인지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일반적 관념이기 때문에, 이 이론의 변형은 심리학 및 사회학의 많은 영역에서 발견된다(White, Bates, and Johnson, 1991). 1. 서덜랜드의 차별교제이론 서덜랜드는 30년 이상 범죄학 분야에서 탁월한 교재였던 범죄학 교과서의 저자로서, 개인의 범죄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차별교제이론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은 그가 집단 또는 사회..